오징어게임의 가치가 약 1조 원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오징어게임 제작비는 약 253억 원으로 회당 28억 원 정도라고 하는데요 효율성 지표에서 41.7배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오징어게임 가치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오징어게임 가치
넷플릭스가 자체 제작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가치를 8억 9110만 달러(약 1조 원)로 추산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10월 16일 블룸버그통신(미국 경제 주간지)이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가 내부 문건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넷플릭스가 개별 작품의 가치를 평가할 때 쓰는 '임팩트 밸류' 지표에서 오징어게임은 이 같은 수준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또 오징어게임을 2분 이상 시청한 사람은 작품 공개 23일 만에 1억 3200만 명에 달했는데요 오징어게임을 보기 시작한 시청자 중 89%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에피소드를 봤다고 합니다. 시청자 중 66%에 해당하는 8700만 명은 첫 공개 후 23일 안에 마지막 9화까지 '정주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징어게임의 제작비는 2140만 달러(약 253억 원)로, 회당 28억 원 정도입니다. 넷플릭스 인기작 '기묘한 이야기'와 '더 크라운'의 회당 제작비가 각각 800만 달러(95억 원)와 1000만 달러(119억 원)인 것과 비교하면 더 낮은 수준입니다.
오징어게임은 적은 제작비로 약 1조 원의 가치를 창출해 '효율성' 지표에서 '41.7배'를 기록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오징어게임의 흥행을 계기로 넷플릭스 내 '비영어권' 작품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오르고 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오징어 게임'은 언어의 장벽을 넘어선 넷플릭스 히트작 가운데 '막내'일뿐"이라는 기사에서 "넷플릭스에서 비영어권 드라마의 승리가 이어지고 있다"라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오징어 게임 외에 스페인어 드라마인 '종이의 집', 프랑스어 드라마인 '뤼팽'등의 예를 들었습니다.
종이의 집은 스페인 텔레비전에서 2시즌 만에 종영했었지만, 넷플릭스에서는 히트작으로 부활해 시즌 4는 첫 공개 후 4주 만에 6500만 명이 시청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같은 인기에 힘입어 국내에서도 '종이의 집' 리메이크 작품이 제작되고 있습니다.
범죄 드라마 '뤼팽'도 큰 성공을 거뒀는데요 개봉 후 4주간 이 드라마를 시청한 사람은 총 7600만명에 달합니다.
넷플릭스에서 비영어권 작품을 즐기는 미국 시청자 수는 2019년 이후 71% 늘었고, 비영어권 작품을 한 개라도 감상한 미국 넷플릭스 구독자는 전체의 97%에 이르렀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비영어권 콘텐츠의 흥행 원인으로 넷플릭스의 대규모 투자를 꼽았습니다. 이용자들이 외국어 콘텐츠를 즐기기 쉽도록 환경을 마련했다는 것인데요 오징어게임은 31개 언어로 자막이 제공되고, 13개 언어로 더빙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오징어게임 가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애플워치se 나이키 에디션 스그 언박싱 사용후기 (+비교 추천)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애플워치se 솔직한 사용후기입니다. 우선 저는 나이키 에디션을 선택했는데요 매우 매우 만족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언박싱 및 사용후기와 함께 자세하게 설명드리겠
cho6248k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