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환급금 조회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량을 구매한지 5년 ~ 7년이 지났다면, 숨어있는 자동차 환급금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사실을 모르고, 기간이 지나 소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자동차 환급금
지역개발채권이란?
우리가 새차 또는 중고차를 구매할 때는 의무적으로 지역개발채권이나 도시철도채권을 매입하게 됩니다. 차량이 많아지면 환경오염 등의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기 때문에 차량구매 시, 채권을 의무적으로 매입하게 해서 지자체에서 그 금액으로 보도블럭, 도로 등의 지역개발을 하는데 사용합니다.
즉, 자동차를 구매하셨던 가격에 이 채권의 가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채권 매입 가격
2000cc 미만의 승용차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서울 시민은 차량가액의 12%, 강원은 8%, 대전은 4% 등 보통 차량가액의 4~12%에 해당하는 만큼의 채권을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합니다.
이 비율은 각 시도 조례에 근거를 두고있어서 주소지, 배기량, 차량용도에 따라 매입 금액에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 2000cc 이상의 차량은 20%이상의 채권을 구매해야 합니다.
이 채권은 5~7년 이후에 만기가 되는데요, 이 때 원금 및 이자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국가의 채권은 안정성이 매우 높기때문에, 이자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마땅히 받아야 하는 돈이기 때문에 꼭 환급받으시기 바랍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및 신청방법
2021년 10월 기준으로, 환급을 신청하지 않는 미환급 채권만 무려 2,391억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또, 이 채권은 소멸시효가 지나면 자동으로 권리가 사라지게 되는데, 이렇게 권리가 사라져 지자체에 귀속되는 채권만 연간 20억원이나 된다고 하니 반드시 조회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각 지역마다 조회 및 상환 신청을 하는 은행은 위와 같습니다. 아직 앱에서는 지원이 안되는 곳이 더 많으니PC로 해당은행에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하신 후 미환급 채권을 조회하고 환급 신청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 신청방법
해당되는 은행의 어플 or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 미상환 채권 확인 > 환급금 신청 > 신청 계좌로 입금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농협은행을 기준으로 PC에서 환급금을 신청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농협은행 홈페이지 접속하기
농협은행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공과금 > 지역개발채권 > 미상환채권조회/상환
공과금을 클릭하고, 중앙에 보이는 미상환채권조회/상환 버튼을 눌러줍니다.

금융 or 공동인증서 로그인
금융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 중에 원하는 로그인 방식을 선택하여 로그인합니다.
환급금 조회 및 선택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환급금을 조회합니다. 이후, 신청할 환급금을 선택합니다.
정보 확인 후 신청하기
입력한 환급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하시면 자동차 채납 환급금 신청이 완료됩니다.
앞서 설명드렸듯, 소멸시효가 지나기 전에 소중한 내 자동차의 채납 환급금을 꼭 신청하시고 환급받으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자동차 환급금 조회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